Play 테이블쏘 작업 잘못된 예 - 테이블쏘 가로자르기 작업시 부재를 지지하는 썰매의 사이즈가 작으면 커팅 중 부재가 살짝 꺽이며 블레이드에 끼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원형쏘 작업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데 부재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야 한다.- 넓은 폭의 부재를 세로켜기 할 때에... Play video
Play 테이블쏘 마이터게이지로 가로자르기 테이블쏘에서 가로자르기 작업은 마이터게이지에 펜스를 부착하여 많이 한다. 펜스를 부착하면 부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뜯김을 방지하며, 커팅위치를 파악하는데 이로운 장점이 있다. 작업 순서1. 반듯한 합판 등의 판재... Play video
Play 테이블쏘 푸쉬스틱 선택하기 테이블쏘로 부재를 폭이 좁게 켤 때에는 푸쉬스틱을 사용한다. 푸쉬스틱은 기성품을 사용하거나 공방에서 제작하여 사용한다.기성품은 견고하고 부재를 고정시키는 면적이 넓은 것을 사용해야 한다. 고정시키는 면적이 좁거나 작은 크기의 푸쉬스틱은 사용하지... Play video
Play 테이블쏘 틈없는 인서트 만들기 기성 테이블쏘 인서트는 다양한 톱날 두께와 각도절단을 위해 틈이 있다. 틈없는 인서트를 만들어 사용하면 뜯김 없이 깔끔하게 재단할 수 있고 얇게 잘린 조각이 틈새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업 순서1. 기성 인서트로 ... Play video
Play 테이블쏘 파트별 설명 테이블탑에는 보조도구를 장착할 수 있는 마이터슬롯이 있다. 제작품과 작업장 크기를 고려하여 테이블탑 사이즈를 선택한다. 인서트는 블레이드와의 틈이 최소화해야 한다. 직접 만들거나 별도로 구매할 수 있다. 정면의 휠로 블레이드 높낮이를 조... Play video
Play 테이블쏘 기초 – 세로켜기 테이블쏘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용도는 목재의 결을 따라 재단하는 켜기 작업이다. 안전하고 정확한 작업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푸쉬스틱이 사용된다. 직각으로 가공되어 있고 폭이 넓으며 (4” 이상), 한 명이 다룰 수 있는 적... Play video
Play 테이블쏘 날 종류와 선택하기 립핑 (Rippng) 블레이드는 켜기용으로 톱니의 사이즈가 크고 수가 적다. (24 ~ 30개) 크로스컷 (Cross Cut) 블레이드는 가로 자르기용으로 톱니가 작아 수가 많다. (60 ~ 90개) 콤비 (Combination) 블레이... Play video
Play 테이블쏘 사용하기 기초 귀마개, 보안경 등을 착용하고 소매가 헐렁한 옷은 피한다. 톱날과 펜스가 마이터슬롯과 평행한 지 체크한다. 직각자로 톱날이 테이블과 직각인 지 체크한다. 킥백은 펜스와 톱날 사이에서 발생한다. 킥백을 방지하기 위해 푸쉬스틱과 라이빙... Play video
Play 테이블쏘 기계 및 작업 소개 테이블쏘는 목재의 세로켜기(rip-cut)와 가로자르기(cross-cut)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목공기계이다. 펜스는 톱날과 정확하게 평행이 되어야 한다. 톱날에는 안전장치인 스플리터나 라이빙나이트가 설치되어야 한다. 작업 전 톱날... Play video
Play 테이블쏘 라이빙나이프의 기능 스플리터와 라이빙나이프는 테이블쏘 커팅 시 부재의 절단면이 맞물려 킥백을 일으키는 것을 제어한다. 스플리터는 테이블에 고정되어 있는 것에 반해, 라이빙나이프는 테이블쏘 날 높이를 변경해도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날과 함께 움직이므로 스플리터보... Play video